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

2022년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신청과 경기도 청년지원사업의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기도에서 진행중인 청년 지원 사업에 대해서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지원 사업명

청년기본소득 (https://www.gg.go.kr/contents/contents.do?ciIdx=1037&menuId=2736)

 

지원 대상

경기도 내 만 24세 청년으로서 3년 이상 계속 거주한 경우 또는 합산하여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입니다.

즉, 오로지 만 24세 (97년 10월 02일 ~ 98년 10월 01일에 태어난 청년)만이 해당 지원 사업에 신청할 자격이 주어지며,

3년 이상 혹은 과거 10년동안 거주하였던 분들이 신청 대상이 됩니다.

 

지원내용

1인당 분기별 25만원(최대 100만원) 기본 소득을 지원해줍니다.

이때, 기초생활수급자 분들은 꼭 수급자 증명서를 함께 제출하세요! 이럴 경우 일시금을 지급하여 줍니다.

 

지급형식

경기도지역화폐로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지급은 12월 20일부터 차례로 진행 됩니다!

 

제출서류

  1. 신청서
  2. 주민등록초본(반드시 신청기간 내의 발급본이여야 합니다!)
  3. 기초생활 수급자의 경우 증명서를 함께 제출! (해당자만)

지원 사업명

청년노동자 지원사업(https://www.gg.go.kr/contents/contents.do?ciIdx=1057&menuId=2737)

 

지원 대상

  1. 경기도 거주 만 18~34세 이하 청년 근로자
  2. 월 급여 290만원 이하 재직자
  3. 도내 중소기업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

지원내용

2년간 근로 유지 시 매분기 60만원, 2년간 480만원을 지급합니다.

 

지급형식

시.군 지역화폐

 


소득 구간 맞춤형 자산 형성 패키지

 

1.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조건: 연 소득 2,400만원 이하

 

저축 금액이 월 10만원에서 1~3배를 정부가 매칭하여 만기일에 저축 금액보다 훨씬 더 큰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만기 후에는 최대 1,440만원을 추가로 수령할 수 있는 것이지요! 연 소득이 2,400만원이니 월급여: 180~200만원 이신 분들은 해당 정책을 눈여겨 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

 

조건: 연 소득 5,0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펀드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로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장기 펀드 가입 기간은 3년에서 5년 이하로 연 600만원의 납부 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매달 50만원을 납부하면 총 600만원 중 40%인 240만원을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3. 내일채움공제

 

아마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층들은 대부분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바로 '내일채움공제'인데요. 

 

2년 이상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청년 근로자라면 해당 지원 사업에 반드시 지원하여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근로자와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적립한 복지 금액에 더한 복리 이자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모두들 경기도에서 하고 있는 청년지원사업, 복지사업을 꾸준히 모니터링 하셔서 혜택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