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동산 관계장관 회의 발췌 분석하기 (22년 11월 10일) (부동산, 주택, 매수심리, 가격, 부동산 시장 현안)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동안 큰 기대를 샀던 부동산 시장 현안 대응 발표에 관한 관계장관 회의록에 대해서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모두 알고 있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매수세 하락 및 가격 안정화와 이에 대한 정성적인 수치를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그 간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한 제로금리 속에서 많은 분들이 부동산 투기를 감행했고, 이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정작 주택이 필요한 실수요자들에 대한 반발이 심했습니다. 이를 두고 현재 정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정부는 그 동안의 애로사항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고, 이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나설 행보를 띄고 있습니다. 부동산 정책의 행보로 회의록에서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네요. 우선, 규제지역을.. 더보기 오늘의 주식 뉴스 11월 7일 (테슬라 주식 전망, 미국 중간선거, CPI 발표, 트위터로 인한 테슬라 주가 하락) 안녕하세요, 11월 7일 미국 주식의 시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행히도 3대 지수 모두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금융주들이 모여있는 다우는 1.3% 빅 테크 기업들이 모여있는 나스닥은 0.85% 미국의 경제를 견인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모여있는 S&P 500은 0.96% 상승으로 마무리를 했네요. Q. 미국의 중간선거 이슈. 주가 향방은? 미국은 역대 중간선거 이후 1년간 상승했던 기간은 총 18번입니다. 이는 유의미한 지표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확률인데요. Q. 그렇다면 어느 당이 집권을 해야 주식 시장에는 더욱 순풍이 불까? 정답은 어느 당이여도 상관없다입니다. 때문에 중간선거 이슈로 인한 주가 흐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는 방목하셔도 괜찮을 듯합니다. Q. 연준의 금리인상 정책 지난 11월 FOMC.. 더보기 11월 FOMC 결과 및 앞으로의 주가 향방 안녕하세요. 한국시간으로 오늘 오전 3시에 FOMC의 회의 결과가 발표되었죠? 시장이 예상했던 0.75%의 금리인상. 역시 예상했던 그대로네요. 그렇다면 어제 나스닥 차트를 볼까요? 역시 예상했던 대로 높은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기술주와 빅 테크 주들이 모여있는 나스닥 지수가 급락했군요. 파월 의장의 생각 하지만, 시장은 이번 FOMC 회의 결과를 0.75%의 금리 인상으로 미리 예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동안의 반짝 반등의 이유는 미국의 경기침체가 우려되기 때문에 미 연준 인사들의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론'이 대두되면서 였습니다. 하지만 FED의 파월 의장은 이날 연설에서 '미국의 고용지표는 매우 강하며, 경기 침체가 올 경우엔 금리를 인하하는 문제에서 해결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문제는 해결책이 단.. 더보기 이전 1 다음